중국의 장기이식 남용 근절: Nordic Action Plan
데이비드 마타스
17년 2019월 18일 덴마크 코펜하겐, 2019년 19월 2019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공개 세미나와 XNUMX년 XNUMX월 XNUMX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의회 브리핑에서 각국의 행동을 발표한 발언으로 중국에서 장기 이식 남용을 근절할 계획입니다. 이 텍스트는 세 국가를 함께 다루면서 이러한 언급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중국에서는 주로 영적인 파룬궁 수련자들인 양심수들과 최근에는 위구르족, 그리고 소수의 티베트인과 가정 기독교인들이 장기 이식을 위해 살해당하고 있습니다. 이 대량 학살의 증거는 다음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나) 인터넷에 게재된 저작물
2006년 2007월 일자 보고서, XNUMX년 XNUMX월 일자 개정판 피의 수확, David Matas와 David Kilgour가 공동 저술했습니다.[1]
2006년 미네소타 대학교 공중 보건 학교 인권 및 보건 프로그램 책임자 커크 앨리슨(Kirk Allison)이 미국 의회에 제출한 자료;[2]
Hao Wang의 2007 Yale 학부 논문 "중국의 장기 이식 산업과 파룬궁 장기 적출: 경제 분석";[3]
David Matas, David Kilgour 및 Ethan Gutmann의 2016년 공동 업데이트 피 묻은 수확 및 학살자;[4]
ii) 출판된 책
피 묻은 수확 2009년 XNUMX월, David Matas와 David Kilgour가 공동 저술했습니다.
국가 기관, David Matas와 Torsten Trey가 공동 편집한 대부분의 의료 전문가들의 에세이 모음, 2012;[5]
학살자, Ethan Gutmann 저, 2014년;[6]
iii) 다큐멘터리
레드 레인, 2013, 마샤 사비츠 작성;
인간 수확, 2014, 2015 Peabody Award를 수상한 Leon Lee;
믿기 힘든, 2015, Ken Stone 작성;
iv) NGO 웹사이트
파룬궁 박해를 조사하기 위한 세계 기구;[7]
중국의 이식 남용 근절을 위한 국제 연합(ETAC);[8]
중국 장기 적출 연구 센터;[9]
강제 장기 적출 반대 의사(DAFOH);[10]
v) 출판된 기사
David Matas, Torsten Trey, Maria Cheung, Richard An의 "Cold Genocide: Falun Gong in China", Genocide Studies and Prevention: An International Journal에 게재[11]
vi) 독립 재판소의 판결
독립적인 인민재판소인 중국 재판소의 판결은 중국의 양심수의 강제 장기 적출에 대해 조사하고 어떤 범죄가 있었는지 조사해야 한다는 명령을 받았습니다.[12]
이 축적된 증거는 양심수 피해자에 대한 장기 이식 학대가 일어나고 있고 대규모로 일어나고 있음을 의심의 여지 없이 입증합니다. 문제는 그것에 대해 무엇을 할 것인가가 됩니다.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에 제안할 사항이 있습니다.
형사 기소
2019년 XNUMX월 중국 재판소는 중국에서 양심수의 강제 장기 적출이 반인도적 범죄와 고문에 해당한다고 결론지었습니다.[13] 그들은 총회가 양심수의 강제 장기 적출이 집단 학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자문 의견을 국제사법재판소에 요청할 것을 권고했습니다.[14]
세 국가 모두의 형법은 집단 학살과 반인도적 범죄를 기소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덴마크와 핀란드의 법은 고문이 반인도적 범죄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에도 고문 기소를 허용합니다.
세 국가 모두에서 기소 가능한 범죄에 대해 법원은 보편적 관할권을 갖습니다. 피고인이나 피해자는 국민 또는 영주권자가 아니어야 합니다. 범죄는 국가에서 저지를 필요가 없습니다. 덴마크와 핀란드에서는 범죄자가 단순한 방문자라도 해당 국가에 존재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스웨덴에서는 물리적 존재조차 필요하지 않습니다.
덴마크가 당사국인 국제 협약에서 덴마크가 해당 행위에 대한 관할권을 갖도록 요구하는 경우, 덴마크는 외국인에 대해 해외에서 저지른 행위에 대해 방문자를 기소할 수 있습니다.[15] 덴마크는 고문방지협약의 당사국입니다.[16] 고문방지협약은 당사국이 피고인이 자국 영토에 있고 피고인을 인도하지 않는 경우 고문을 설정하고 관할할 의무가 있습니다.[17]
덴마크는 또한 국제형사재판소 규정에 명시된 범죄인 경우 외국인에 대해 해외에서 저지른 행위에 대해 방문자를 기소할 수 있습니다.[18] 인도에 반한 범죄와 대량학살은 국제형사재판소 관할 범죄입니다.[19]
덴마크 인권변호사 타이게 트리어는 2005년 XNUMX월 코펜하겐 검사 회의에 참석하기 직전 지아 춘왕을 덴마크 파룬궁 협회를 대신해 고소했다.[20] Jia는 공안부 장관이자 610 사무실인 파룬궁 탄압을 담당한 공산당 관료집단의 수장이었습니다. Jia는 회의가 끝난 후 당국이 체포 영장을 신청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사가 완료되기 전에 덴마크를 떠났습니다.[21]
핀란드에서 형법은 핀란드 법이 법령에 열거된 핀란드 범죄에 대해 핀란드 외부에서 외국인이 외국인에 대해 저지른 범죄에 적용한다고 규정합니다.[22] 인도에 반한 범죄, 대량 학살 및 고문은 법령에 나열된 범죄입니다.[23]
2003년 XNUMX월 중국 공산당 집권기구인 중앙상무위원회 위원 XNUMX명 중 한 명인 뤄간(Luo Gan)이 핀란드를 방문했다. 핀란드 인권변호사, 현지 파룬따파 협회를 대표하는 에르키 칸니스토(Erkki Kannisto)는 검찰과 경찰에 집단학살과 고문 혐의로 고소장을 제출했다. Luo Gan은 형사 소송이 진행되기 전에 나라를 떠났습니다.[24]
2014년 XNUMX월에 채택된 스웨덴 법령은 집단 학살과 반인도적 범죄를 기소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25] 고문은 스웨덴 법에 따라 별개의 범죄가 아니지만 인도에 반하는 범죄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스웨덴은 피고인이 스웨덴 영토에 없는 경우에도 인도에 반한 범죄와 대량 학살을 기소할 수 있습니다.[26] 그러나 그렇게 하는 데에는 명백한 실제적인 어려움이 있습니다.
보편적 관할권은 피고인이 장기 체류하는 경우 구제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단기 방문에 대해서는 이론적 법적 가능성이 무엇이든 간에 기소를 진행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특정한 경우에 보편적 관할권을 발동하는 것은 개인이 기소된 범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송이 시작된 국가로의 여행을 다시 방해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이상으로 나아가려면 다른 것이 필요합니다.
Magnitsky 입법
현재 XNUMX개국에 존재하는 마그니츠키 법안은 당국이 심각한 인권 침해자의 자산을 동결하고 입국을 거부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확인된 범죄자는 법률에 따라 공개적으로 이름이 지정됩니다. 이 법안이 있는 XNUMX개국은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캐나다,[27] 미국[28] 그리고 영국.[29]
이 법안의 이름은 부패를 폭로한 후 러시아 교도소에서 사망한 인권 변호사 Serge Magnitsky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마그니츠키의 원래 법안은 부패한 러시아 관리를 대상으로 했지만 이후 모든 곳에서 심각한 인권 침해를 포괄하도록 확대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이 법안에 따라 중국인 피고인을 열거한 국가는 없습니다. 2018년 XNUMX월 캐나다 정부에 파룬궁을 박해하는 주요 박해자 XNUMX명을 나열해 달라는 요청이 있었습니다.[30]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은 그러한 법률을 제정하고 중국에서 양심수의 장기 적출을 담당하는 사람들을 나열해야 합니다. 덴마크에서 기소를 마치지 못한 지아춘왕과 핀란드에서 비슷한 운명을 겪은 뤄간이 유력한 후보다.
의무 보고
이번 유럽 방문에서 16년 2019월 XNUMX일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럽 장기 이식 학회에서 저는 모든 국가에서 의료 전문가가 의료 관리자에게 이식 관광을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장문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31] 덴마크도 핀란드도 스웨덴도 현재 그 보고가 없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이 보고는 해외 장기 이식 남용 공모를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의무신고 없이는 악순환에 빠진다. 우리는 문제가 얼마나 큰지 모르기 때문에 문제에 대해 거의 수행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문제에 대해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그것이 얼마나 큰지 모릅니다.
해외 이식 학대에 가담하는 법안이 역외 범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영토 외 법률이 더 많은 국가를 포함함에 따라, 의료 전문가가 이러한 법률을 유효하게 만들기 위해 이식 관광에 대해 보건 공무원에게 보고해야 할 필요성도 커집니다.
덴마크 윤리 위원회는 2008년에 다음과 같이 보고했습니다.
“매년 많은 덴마크인들이 새로운 신장을 사기 위해 다른 나라로 여행을 갑니다. 덴마크 국립보건원(National Board of Health)에 따르면 그 수는 연간 약 XNUMX명입니다.”[32]
보고서에 따르면 이 정보의 출처는 National Board of Health의 관리와의 사적인 대화입니다.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보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매년 정확한 숫자는 무엇입니까? "약"이라는 단어의 사용은 National Board of Health가 확실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까? 이 여행자들이 가는 국가는 어디입니까?
보고서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정보는 답변보다 더 많은 질문을 생성합니다.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집계 통계가 포함된 필수 보고만이 답을 줄 것입니다.
민사 책임
법은 민사 책임과 형사 책임을 다룹니다. 민사 책임 문제는 국가면제 문제를 제기합니다. 중국의 범죄는 중국의 범죄입니다. 우리는 국가 후원 범죄를 다루고 있습니다. 국가 당국은 그러한 범죄에 대해 어느 정도까지 민사 책임을 질 수 있습니까?
가해자는 개인이기 때문에 주권면제 원칙은 표면적으로 가해자에게 책임을 묻는데 장애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권면제의 교리는 국가가 개인을 통해 행동하기 때문에 국가 기능에서 행동하는 개인을 포함하도록 확장됩니다. 국가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은 국가 기능을 방해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표면적으로는 국가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이 외국 법원에 회부되는 것을 면제한다고 해서 중대한 인권 침해가 적절한 국가 기능이 아니기 때문에 중대한 인권 침해에 대한 정의가 저해되어서는 안 됩니다. 반대로, 최소한 공식적으로는 모든 국가에서 중대한 인권 침해를 거부하고 이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주권면제법은 중대한 인권 침해에 대한 면제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부재는 종종 존재하는 상업 활동의 예외와 대조됩니다. 국가는 일반적으로 외국 국가가 상업적 약속 위반에 대해 지방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인권 존중 약속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습니다.[33]
몇 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미국은 테러 지원국으로 지정된 국가의 관리가 심각한 인권 침해로 고소당하는 것을 허용합니다.[34] 캐나다는 테러 지원국으로 지정된 주의 공무원이 테러로 고소되는 것을 허용합니다.[35] 그러나 이러한 예외는 너무 좁습니다. 첫째, 그들은 지정되지 않은 국가의 관리를 붙잡지 않으며 중국은 이러한 법령 중 어느 국가에서도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지정제도는 필연적으로 정치화되고 느려질 것이다. 인권 유린에 대한 가짜 비난을 정치적 무기로 사용하려는 사람들의 사적 소송을 방지하기 위해 더 나은 문지기는 외국 국가 단위가 아니라 사례 단위 국가의 동의 요건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가 있더라도 주권면제법에 중대한 인권침해에 대한 면제가 없더라도 중국의 인권침해는 국가기능을 수행하는 공무원이 지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얼핏 보면 중국에 탈출구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오히려 당 기능에서 행동하는 공산당 관리에 의해. 중국에서 국가는 꼭두각시입니다. 당은 끈을 당깁니다.
주권 면제는 국가 및 국가 공무원에게 적용됩니다. 여당에서도 정당과 당원들에게 하지 않는다. 겉보기에 간단해 보이는 이 규칙은 유감스럽게도 외국 정부와 법원에 의해 중국에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외국 정부와 정당은 공산당과 중국 국가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국가로부터 공산당으로의 주권 면제를 확대했다고 보고 있습니다.[36]
파룬궁의 주요 박해자들인 장쩌민, 보시라이, 뤄간을 상대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민사 소송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소송은 대부분의 경우 주권 면책의 떼를 짓고 있습니다. 그들은 가해자에 대한 판결로 이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주권면제법의 개혁을 요구했고, 국제인권법의 절대규범에 대한 중대한 위반에 대한 예외를 요구했습니다.[37] 그러한 예외는 제정될 수 있고 제정되어야 합니다.
덴마크에는 주권면제에 관한 법률이 없습니다. 주권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덴마크는 국제관습법에 의존합니다.[38] 주권면제와 인권에 관해서는 예상대로 국제관습법이 완전히 명확하지 않습니다.
개별 원고는 제2008차 세계 대전의 인권 침해에 대해 독일을 상대로 이탈리아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2012년 독일은 이탈리아 법원이 독일 인권 침해가 국제법의 절대 규범을 위반하더라도 독일에 대한 관할권을 주장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이탈리아를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했다. XNUMX년 국제사법재판소는 인권침해 당시 국제법의 절대규범 위반에 대한 국제관습법상의 주권면제에 예외가 없었다는 점에 근거하여 합의했다.[39]
국제법의 절대규범은 예외를 인정하지 않는 규범이다. 고문, 반인도적 범죄, 대량학살 금지가 그러한 규범입니다. 국제법상 고문이나 반인도적 범죄, 집단학살을 용인할 수 있는 상황은 없다.
2012년 국제사법재판소(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사건은 제XNUMX차 세계대전 중이 아니더라도 오늘날 국제법의 절대 규범 위반에 대한 국제관습법상의 주권면제에 대한 예외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을 남겨 둡니다. 오늘날 국제관습법에 그러한 예외가 존재한다는 주장이 실제로 존재합니다.[40] 그러한 예외의 존재는 덴마크 소송에서 주장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예외를 규정하는 법률을 제정하는 것이 훨씬 간단하고 확실할 것입니다. 국제관습법에 그러한 예외가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그러한 예외를 제정하는 주법을 금지하지는 않습니다.[41]
핀란드 외무부는 1999년 XNUMX월 입법 없이 다음과 같은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국가가 상업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정부 행위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주권 따라서 국가는 이러한 활동과 관련하여 면제를 향유하지 않습니다.”[42]
정부는 국제법의 절대 규범, 특히 고문, 반인도적 범죄 및 집단 학살에 대해 유사한 성명을 발표할 수 있습니다. 핀란드 정부는 특히 고문, 반인도적 범죄 및 집단 학살과 같은 국제법의 절대 규범을 위반하는 국가 및 그 대리인의 가담은 정부 행위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할 수 있고 또 명시해야 합니다. 주권 따라서 국가와 그 대리인은 이러한 활동과 관련하여 면제를 향유하지 않습니다.
핀란드와 스웨덴은 2004년 국가 및 그 재산의 관할권 면제에 관한 유엔 협약의 당사국이 되면서 "인권 보호에 관한 향후 국제 법적 발전을 저해하지 않는" 선언을 했습니다.[43] 이것은 "After you Antoine" 접근 방식을 나타냅니다.
국제관습법은 어떻게 발전하는가? 이 법은 구속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국가의 관행에서 비롯됩니다. 국가 관행의 발전 없이 국제관습법의 발전은 불가능하다.
국제관습법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한 국가, 다른 국가, 다른 국가 등에서 실행해야 합니다. 핀란드와 스웨덴이 '미래의 국제법률발전'이라고 하면 '남들이 다 하면 우리도 하겠다'고 하는 것 같다. 모든 국가가 그러한 태도를 취한다면 관습 국제의 발전은 사실상 동결될 것입니다.
국가 및 그 재산의 관할권 면제에 관한 유엔 협약에 가입할 때 보다 적절한 선언은 가입이 심각한 침해로부터 인권 보호에 관한 국제법 원칙의 해석 및 적용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방금 언급한 바와 같이, 그러한 원칙 중 하나는 현재 국제법이 고문, 반인도적 범죄 및 집단 학살 금지를 위반한 경우 국가면제 예외를 금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탈리아는 정확히 그 선언을 했습니다. 선언에 반대하는 다른 국가는 없습니다. 선언이 사실상 유보였다고 주장하는 국가는 없었다. 다른 어떤 국가도 선언이 협약의 목적 및 목적과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하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모든 북유럽 국가가 고문, 반인도적 범죄 및 집단 학살에 대한 금지를 위반하는 경우 국가면제 예외를 입법 또는 공식 성명을 통해 규정하는 것은 조약 및 국제관습법에 부합합니다. 그렇게 해야 합니다.
출입국 금지
해외 이식 학대에 연루된 사람은 누구나 비자와 입국을 거부해야 합니다.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은 모두 유럽 연합의 솅겐 지역에 속합니다. 솅겐 지역 국경 통제 입국 요건에는 심각한 범죄를 저질렀다고 믿을 만한 심각한 근거가 있는 사람의 입국 금지가 포함됩니다.[44]
유럽 연합 회원국의 국경 통제 경보를 통해 개인의 입국이 금지됩니다.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은 중국에서 양심수의 장기 살해에 가담했다고 믿을 만한 심각한 근거가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유럽 연합 국경 통제에 경보를 발령해야 합니다.
또한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비자 신청자는 비자 신청자가 장기 이식 학대에 가담한 경우 비자 신청서에 질문해야 합니다. 미국 비이민 비자 신청서는 모든 비자 신청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질문합니다. "인간의 장기나 신체 조직의 강제 이식에 직접 관여한 적이 있습니까?"[45]
이 질문은 인간의 장기나 신체 조직의 강제 이식에 직접 관련된 사람들에 대한 미국 입국 금지를 기반으로 합니다.[46] 캐나다에서 제안된 법안은 의회를 통해 진행 중이며 장관이 보기에 인체 장기 밀매와 관련된 범죄를 구성하는 행위에 연루된 사람들에 대한 이민 금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47]
죄인이 그러한 질문에 예라고 대답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질문 자체는 진입을 억제하고 국가 표준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장기 이식 학대 참가자의 입국을 금지하는 비자 정책은 학대에 가담한 해외 사람들에 대한 부적절한 초대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누군가가 부정직하게 대답하지 않고 비자를 받은 경우 학대에 대한 연루를 입증할 필요 없이 부정직으로 인해 그 사람이 퇴출되거나 비자가 취소될 수 있습니다.
윤리개발
또한 이번 유럽 방문의 일환으로 14년 2019월 XNUMX일 영국 옥스포드에 있는 유럽 의료 윤리 센터 협회에 또 다른 장문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의료 전문가 윤리는 업무에 필요한 도구 상자의 필수 구성 요소입니다. 해외 이식 관광 공모에 반대합니다.
윤리적 기준은 형사 또는 민사 규제 절차 대신 전문적인 징계 등 다른 형태의 집행을 허용합니다. 윤리를 통해 전문가에게 부과할 수 있는 기준은 일반 대중에게 법을 통해 부과되는 기준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이식은 결국 평신도 활동이 아닙니다. 의료 전문가들은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이 분야에서도 관련 윤리 기준을 갖기를 기대합니다. 이 영역의 격차는 매우 채워야 하는 영역입니다.
덴마크의 윤리적 원칙,[48] 핀란드어[49] 스웨덴어[50] 의료 협회는 본질적으로 일반적입니다. 그들은 모두 장기 밀매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습니다.
덴마크 협회(Danish Association)는 웹사이트에서 "현재 윤리에 관한 사항"이라는 제목 아래 특정 문제의 전체 순서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외에서 장기이식 남용을 해결하는 것은 해결된 문제 중 하나가 아닙니다. 스웨덴 의학 협회에도 지침이 있습니다.[51] 진술[52] 직업의 특정 구성 요소와 특정 문제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다시 이식이나 장기 밀매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없습니다.
덴마크 윤리위원회(Council of Ethic)는 "장기 거래는 덴마크의 장기 필요 문제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분리되어 고려되어야 하는 독립적인 윤리적 문제"라는 결론을 내린 장기 거래에 관한 섹션과 함께 장기 기증에 관한 간행물을 가지고 있습니다.[53] 나는 더 갈 것이다.
덴마크에서는 장기 거래를 장기 거래와 별도로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장기 거래를 고려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덴마크에서는 내가 말할 수 있는 한 그렇지 않았습니다.
시체 전시
덴마크 코펜하겐 Hellerup 교외에 있는 Experimentarium이라는 박물관은 2018년 XNUMX월부터 운영되고 있습니다.[54] 플라스티나 바디 전시회.[55] 전시회 웹사이트에는 자주 묻는 질문이 있는 웹페이지가 있습니다. 그 질문 중 하나와 주어진 대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시된 표본은 어디에서 왔습니까? 플라스티네이트가 누구인지, 어떻게 죽었는지 알 수 있을까요?
Body Worlds 전시회는 신체 기증자의 관대함에 의존합니다. 자신의 시신이 전시회에서 교육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유증한 개인. 모든 전신 플라스티네이트와 표본의 대부분은 이러한 신체 기증자로부터 얻은 것입니다. 특이한 상태를 보여주는 몇 개의 장기와 특정 표본은 오래된 해부학적 수집품과 형태학 연구소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시신 기증자들의 합의에 따라 이들의 신원과 사인은 공개되지 않았다. 개인정보 제공이 아닌 우리 몸의 본질에 초점을 맞춘 전시”라고 말했다.[56]
헬싱키 북쪽 반타에 있는 핀란드 과학 센터 Heureka에서는 16년 22월 2013일부터 XNUMX월 XNUMX일까지 같은 전시업체의 플라스틱 바디 전시회를 개최했습니다.[57] 스웨덴 과학 박물관인 톰 가슴 실험도 20년 25월 2012일부터 XNUMX월 XNUMX일까지 스톡홀름 근처의 소델타제(Sodeltarje)에서 같은 전시업체의 이 전시회를 주최했습니다.[58]
다른 출품업체가 9년 11월 2016일부터 2019일까지 스웨덴 예테보리 전시회를 계획했지만 장소 문제로 인해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전시자는 XNUMX년 XNUMX월 전시 일정을 변경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전시회 웹 사이트에서 출품자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우리 전시는 자발적으로 그곳에 배치된 오브제들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생 동안 과학의 처분에 몸을 맡기기로 결정한 사람들. 모든 항목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등록 번호로 식별되며 문제 없이 정렬됩니다. 또한 대부분의 시신이 암으로 사망했는데, 이는 전시의 주제이기도 하다. 우리의 전시회는 다른 순수 과학, 예술적 포즈와 달리 순전히 정보에 초점을 맞춥니다. 해당 전시는 법령에 따라 경찰에 신고되었습니다. 경찰로부터 어떠한 이의나 민원도 접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59]
기관 전시물에 대해 특정한 법적 조치를 취한 여러 관할 구역이 있습니다. 2008년 XNUMX월 뉴욕주는 신체 전시업체인 Premier Exhibitions와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이 합의에 따라 전시자는 신체를 뉴욕 전시의 일부로 전시하기 전에 각 신체 및 신체 부위의 출처를 보여주는 서면 문서를 얻기로 동의했습니다. , 사망 원인 및 고인의 시신 사용에 대한 동의.[60]
하와이 주는 2009년 XNUMX월에 금지법을 제정했습니다. 법안은 “누구든지 상업적 목적으로 시신을 전시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61]
2010년 XNUMX월 시애틀 시는 유해의 상업적 전시를 규제하는 조례를 제정했습니다. 이 조례는 고인의 유언장이나 유골 처리를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람의 동의가 필요했습니다. 동의를 확인하기 위해 제공된 문서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해 시 공무원이 지정되었습니다.[62]
프랑스에서는 법원이 시체 전시회를 폐쇄하도록 명령했습니다. 2010년 XNUMX월 프랑스 최고 법원의 판결은 다음과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이 명령을
) 인체에 대한 존경은 죽음으로 끝나지 않는다.
b) 사망한 사람의 유해는 존중, 존엄 및 품위 있게 다루어야 합니다.
c) 노출된 시신이 존중, 존엄, 품위 있게 대우받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법원은 그들이 합법적인 기원을 갖고 있는지, 특히 관련자가 평생 동안에 동의를 했는지 여부를 결정해야 했습니다. 그들의 시체 사용; 그리고
d) 전시자가 시신이 대중에게 공개되는 조건을 조사해 달라는 법원의 요청을 거부했습니다.[63]
체코 공화국은 2017년 XNUMX월 시신 전시를 다루는 수정된 매장법을 제정했습니다. 개정된 법률은 고인의 동의 없이 시신을 전시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64] 이 법은 금지가 존엄성의 개념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프랑스 법원의 판결과 유사합니다. 체코의 금지법에는 인간의 유해와 유해가 존엄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무엇보다도 동의가 필요하다는 포괄적 조항이 있습니다.
시체 전시는 장기 이식 학대가 아닙니다. 그러나 그것들은 동족이고 유사한 사실 증거입니다. Body Worlds는 플라스틱으로 된 신체와 신체 부위를 전시하는 많은 민간 기업 중 하나일 뿐입니다.
플라스틱으로 만든 신체 부위는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에서 인터넷을 통해 구입할 수 있습니다.[65] 심양시는 장기를 위해 파룬궁을 살해한 사건의 중심지이자 이 학대에 대한 최초의 내부 고발자인 Annie라는 여성의 고향입니다.
이것이 덴마크, 핀란드 및 스웨덴의 출품업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 세계 다양한 전시회의 많은 신체 및/또는 부품은 중국과 중국 내에서 경찰 출처에서 왔습니다. 증거는 이식용 장기와 전시용 시신 모두를 양심수들로부터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음을 지적합니다.[66]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은 이러한 전시물을 다루는 법률이 필요합니다. 법안은
a) 사후에 시신이 전시된 개인이나 그 가족의 동의를 보여주는 확인 가능한 문서가 필요합니다.
b) 기관의 출처를 보여주는 검증 가능한 문서를 요구하고,
c) 교도소, 구금 또는 경찰에서 시신을 조달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예테보리 전시업체가 웹사이트에 위에 인용된 진술을 게시할 때:
“법규에 의거 경찰에 전시 신고가 들어왔습니다. 경찰로부터 어떠한 이의나 민원도 접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것은 법의 허점이 있다는 진술이다. 채워야 할 간극입니다.
인권 대화
천안문 사태 이후 1990년과 1992년부터 1997년까지 여러 국가에서 유엔 인권 위원회(UN 인권 이사회의 전신)에서 인권 공동 결의안을 추진하면서 인권 침해를 비판했습니다. 중국에서. 1995년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결의안에 대한 토론은 결의안 통과를 통해 시작되기 전에 중단되었습니다.[67]
공동의 중국 외교 이니셔티브의 결과, 이전 몇 년 동안 중국 결의안을 공동 후원한 많은 국가들이 1997년 결의안을 공동 후원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피할 수 없는 중국의 노액션.[68]
덴마크의 결의안에 대해 중국은 덴마크를 외교 및 경제 제재로 위협했다.[69] 그들은 향후 중국과의 거래에서 제외될 덴마크 기업 목록을 작성했습니다.[70] 덴마크가 물러서지 않자 중국은 덴마크와의 공식 양자 방문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71]
1997년 이후 덴마크를 포함하여 이러한 결의안을 공동 후원한 정부는 중국과의 양자간 인권 대화의 대가로 결의안 제출을 중단하기로 동의했습니다. 유럽 연합과 그러한 양자간 대화가 하나 있습니다. 스웨덴에는 또 다른 하나가 있습니다. 2017년에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와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를 포함한 XNUMX개 국제인권기구는 중국에서 인권에 대한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대화 중단을 촉구했다.[72]
캐나다 학자이자 컨설턴트인 Charles Burton의 보고서는 캐나다 중국인 인권 대화에 대한 다음과 같은 우려를 언급했습니다.
• 중국 외교부는 대본을 읽는 대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 스크립트는 일년 내내 여러 국가의 대화에서 반복됩니다.
• 대화와 현장 진행 사이에는 거의 연결이 없습니다. 벤치마크 또는 기타 성공의 객관적 지표를 결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 중국 정부는 대표단장 직급을 낮추고 인권과 직원을 줄임으로써 대화에 대한 의지를 낮추고 있습니다.
• 중국의 경제력 상승과 함께 중국 내 민족주의의 부상으로 인해 중국 정부는 더 이상 인권 문제로 처벌받기를 꺼렸습니다.
• 중국측은 이 경우 서방이 수요자라는 신호를 보내는 대화 준비에 발을 끌리는 경향이 있다.
• 우려 사례 목록에 대한 중국의 대응은 캐나다가 예상하는 것만큼 완전하지 않으며 대응 정도는 해마다 크게 다릅니다.
• 프로세스에 대한 냉소주의가 만연하고 대화 피로가 시작됩니다.[73]
돌이켜보면 대화의 결의를 교환한 것은 나쁜 거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인권에 대해 우려하는 국가들은 협상에서 물러나고 중국에 대한 결의안을 가지고 유엔인권이사회로 향해야 합니다. 비록 이 결의들이 전임자들처럼 무행동으로 무산되더라도, 이 대화들보다 중국이 인권 개선을 위해 더 많은 압력을 가하고 있다.
1997년 덴마크에 일어난 일에 비추어 볼 때, 어느 한 국가가 혼자서 이 일을 하기에는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권 존중에 관심이 있는 모든 국가는 이를 공동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유럽연합 의회 결의안
2013년 XNUMX월 유럽 연합 의회는 EU 회원국들이 중국의 장기 이식 남용을 공개적으로 규탄하고 중국을 여행하는 시민들에게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일 것을 권고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습니다.[74] 유럽 연합 결의안은 현재를 말하고 있습니다.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은 정확히 그렇게 해야 합니다. 그들은 각자 중국의 장기이식 학대를 공개적으로 규탄하고 중국을 여행하는 시민들에게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합니다.
독일 정부 연방외무부 인권정책 및 인도주의적 지원 담당 연방정부 커미셔너인 Barbel Kofler는 20년 2019월 XNUMX일 성명을 통해 다음과 같이 항소했습니다.
“구금된 파룬궁 신도의 장기가 조직적으로 적출되었다는 심각하고 오랜 주장에 대해 중국 정부에 논평합니다. 중국 정부는 이러한 주장에 맞서기 위해 장기 조달에 대한 투명성을 시급히 높이고 독립적인 관찰자들이 감옥과 수용소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합니다.”[75]
논평을 요구하는 것은 정죄와 완전히 같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는 덴마크, 핀란드 또는 스웨덴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 말하거나 행한 것보다 한 단계 높은 것입니다.
유럽 평의회
2015년 XNUMX월 인체장기밀매방지협약 유럽평의회가 승인되어 서명을 위해 열렸습니다. 현재까지 비준 국가는 XNUMX개국이고 비준하지 않은 서명 국가는 XNUMX개국입니다. XNUMX개 비준국이 협약 발효에 필요한 국가 수이므로 협약이 발효되었습니다.
이 협약은 당사국이 장기 밀매 및 이식 관광을 범죄로 규정할 것을 요구합니다.[76] 범죄는 해외에서 이러한 학대에 가담하는 시민과 영주권자에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노르웨이는 협약에 서명하고 비준한 XNUMX개 국가 중 하나입니다. 노르웨이도 예상대로 시행법을 제정했습니다.
그러나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어느 쪽도 이 협약을 비준하거나 서명조차 하지 않았으나 현재 비준 기간이 XNUMX년 이상 남았습니다. 모두가 이 협약에 서명, 비준 및 이행해야 합니다.
유엔 인권이사회 공동 서한
19년 2019월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제네바에 있는 유엔 상임대표와 기타 XNUMX개국의 상임대표는 유엔 인권이사회 의장에게 다음과 같은 공동 서한을 보냈습니다.
"이 서한에 공동 서명한 우리는 대규모 구금 장소에서 자의적 구금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보고와 특히 중국 신장의 위구르족 및 기타 소수 민족을 대상으로 하는 광범위한 감시 및 제한에 대해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 서한은 중국이 이러한 신뢰할 수 있는 보고에 대한 우려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후속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상임대표는 이 서한을 제41차 인권이사회 문서로 기록하고,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 웹사이트에 공개할 것을 요청했다.[77]
이 텍스트의 앞부분에서 언급된 2013년 유럽 의회 결의안은 부분적으로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1. 종교적 신념으로 수감된 다수의 파룬궁 수련생과 다른 종교 및 소수 민족 그룹의 구성원;"
이 결의안은 기록된 반대 없이 채택되었습니다. 의회에 결의안을 공동으로 제안한 유럽의회 그룹은 PPE 그룹(유럽인민당 그룹, 기독민주당), ALDE 그룹(유럽을 위한 자유민주당 연합), Verts/ALE 그룹(그룹 Greens/European Free Alliance) 및 EFD 그룹(유럽 자유 민주주의).
이 결의안 채택 당시 제안 그룹의 덴마크 구성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Ventre 목록에서: (ALDE)
앤 E 젠슨
모르텐 로케고르
옌스 로드
사회주의 인민당 목록: (녹색당-EFA)
Margrete Auken
에밀리 투루넨
덴마크 인민당 목록: (EFD)
모르 텐 메서 슈미트
안나 로스바흐 안데르센
결의안 채택 당시 유럽 의회의 제안 그룹의 핀란드 구성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센터 파티 목록에서: (ALDE)
안넬리 자틴마키
리카 매너
한누 타쿨라
그린 리그 목록: (Greens‑EFA)
사투 하시
타르 자 크론 버그
진정한 핀란드인/기독교 민주당원 목록: (EFD 및 EPP 그룹)
사리 에사야
삼포 테로
스웨덴 인민당 목록: (ALDE)
닐스 토발즈
결의안 채택 당시 유럽 의회의 제안 그룹의 스웨덴 구성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유당 목록에서: (ALDE)
마리 펄
올레 슈미트
세실리아 윅스트롬
녹색당 목록: (녹색당-EFA)
이사벨라 로빈
칼 슐 리터
해적당 목록: (녹색당-EFA)
아멜리아 안데르도터
크리스찬 엥스트롬
센터 파티 목록에서: (ALDE)
켄트 요한슨
414년에 많은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의원을 포함하여 2016명의 유럽 의회 의원이 다음을 언급하는 선언에 다시 서명했습니다.
“주로 파룬궁의 평화로운 명상과 수련자들뿐 아니라 위구르, 티베트인, 기독교인의 동의 없이 중국의 양심수들로부터 조직적이고 국가가 승인한 장기 적출에 대한 지속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보고서”[78]
발생하는 명백한 질문은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의 상임대표가 2019년 유엔 인권이사회 의장에게 공동 서한에 서명한 이유는 위구르인 및 기타 국가에 대한 자의적 구금, 광범위한 감시 및 기타 제한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보고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것입니다. 중국 셴징에 있는 소수민족과 2013년 또는 2016년에 유사한 공동 서한에 서명하지 않았으며 다수의 파룬궁을 포함하여 중국의 동의하지 않은 양심수로부터 조직적이고 국가가 승인한 장기 적출에 대한 "지속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보고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실무자. 이 질문은 특히 2013년과 2016년에 이들 국가의 많은 유럽 의회 의원이 이 우려를 지지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대답이 무엇이든 간에, 중국 전역에서 장기에 대한 양심수의 살해의 증거에 대한 전 세계의 상대적인 조치와 현재 셴징의 위구르족 및 기타 소수 민족에 대한 박해 사이에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습니다.
어쨌든 늦는 것보다는 늦는 것이 낫다. 2019년 XNUMX월 공동서한은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제네바 유엔 대표부가 이제 따라야 할 유익한 사례입니다. 상임대표는 이제 중국에서 동의하지 않는 양심수들로부터 조직적이고 국가가 승인한 장기 적출에 대한 지속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보고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는 공동 서한을 다른 자발적 국가들과 함께 유엔 인권이사회 의장에게 보내야 합니다. 다수의 파룬궁 수련생을 포함하여 중국의 이에 따른 조치를 촉구합니다.
유엔인권이사회
스웨덴도 핀란드도 유엔 인권이사회의 회원국이 아닙니다. 덴마크는 회원입니다. 회원이 아니라는 것은 주에서 의회에서 투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회원국이 아니라고 해서 국가가 이사회에서 발언하는 것을 막지는 못합니다.
핀란드는 4월까지 유럽연합(EU)의 순환 의장직을 맡고 있으며 XNUMX월과 XNUMX월에 열리는 이사회 회의에서 유럽연합을 대표하여 연설했습니다. 이 세션에서 "이사회의 관심이 필요한 인권 상황"이라는 제목의 의제 항목 XNUMX에서 핀란드/EU 성명은 중국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파룬궁은 언급되지 않았다. 장기이식 남용은 언급되지 않았다. 그들이 가장 가까이 온 것은 인권 운동가와 변호사 명단이 구금되고 재판을 받는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중 한 명은 장기를 위해 파룬궁 양심수를 살해하는 데 적극적으로 반대해 온 가오 지셩입니다.[79]
핀란드는 EU 성명을 전달하는 것 외에도 XNUMX월 세션에서 자체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XNUMX월 성명에서 핀란드는 중국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우리는 중국에서 널리 퍼진 감시와 인종에 기반한 프로파일링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으며 중국이 특히 신장 자치구와 티베트에서 종교나 신앙의 자유를 포함한 기본적 자유와 인권에 대한 국가적 및 국제적 의무를 존중할 것을 촉구합니다. "
덴마크는 4년 2019월과 XNUMX월 세션에서 의제 XNUMX에 따라 다른 XNUMX개국을 언급했지만 중국은 언급하지 않은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중국에 대한 유일한 비스듬한 언급은 덴마크가 "EU 성명과 일치한다"는 성명이었습니다.
이 의제 항목에 따라 XNUMX월에 스웨덴은 중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소수자에 속하는 사람들의 권리는 보장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중국이 특히 신장 자치구와 티베트에서 긴급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합니다.”
XNUMX월에 스웨덴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중국이 평화로운 집회에 대한 권리를 존중하고, 특히 신장과 티베트의 소수 민족에 속하는 사람들을 위해 종교와 문화를 표현하고, 독립적인 관찰자들에게 의미 있는 접근을 허용할 것을 촉구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25월에 XNUMX명의 대표단이 이사회 의장과 고등 판무관에게 보낸 서한을 기억합니다.”
덴마크나 핀란드, 스웨덴이 중국에 대한 우려 목록에 '파룬궁'이나 '장기이식 학대'라는 단어를 추가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박해와 희생자들에 대한 그들의 침묵은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유엔 총회
내 생각에 장기를 위해 파룬궁을 대량 학살하는 것은 일종의 집단 학살이다.[80] 집단학살에 대처하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집단학살을 기소하는 것입니다. 국제 범죄에 대한 기소는 국제적 또는 지역적 사건에서 수행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적 장애물이 남아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양심수들에게서 강제로 적출된 장기를 팔아 많은 돈을 벌고 있다. 강제추방을 통한 살인에 연루된 사람들 중 일부는 피해자의 신원은 거의 고려하지 않은 채 혼자 벌어야 하는 돈에 동기가 부여될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 장기 적출을 통한 양심수 대량 학살 사실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해도 이러한 대량 학살은 집단 학살을 확립하기 위한 필수 의도를 나타내는가?
중국 재판소는 Datuk N. Sivananthan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법적 의견을 받았습니다.
“영리를 목적으로 강제로 장기를 적출하려는 의도는 보호 대상 집단의 일부 또는 전체를 물리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파괴하기 위해 강제로 장기를 적출하려는 의도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 이익을 위해 장기 적출을 했다고 해도 가해자는 자신의 행동이 집단의 일부 또는 전체를 파괴할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주장은 ICTY, ICTR 및 ICC에서 채택한 목적 기반 접근 방식보다는 아직 법원의 지원을 받지 못한 지식 기반 접근 방식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러한 결과를 초래할 의도 없이 자신의 행동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해자의 지식이 대량 학살 협약에 따른 의도의 요건을 충족하기에 충분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의도가 필요하다는 개념은 집단학살의 의도가 지식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고 규정한 국제형사재판소 규정의 조항에 비추어 볼 때 잘못된 것으로 보입니다. 법원에 관할권이 있습니다. 현재까지 재판소가 목적 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해 왔다는 사실 자체가 지식 기반 접근 방식을 거부하는 것은 아닙니다.
목적 기반 접근이 가능하다면 지식 기반 접근은 불필요합니다. 또한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와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에는 국제형사재판소 법령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의도 조항이 없습니다. 지식을 포함합니다.
Sivananthan은 그의 견해로 국제형사재판소의 지식 기반 접근의 배제가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재판소 규정의 문구를 기반으로 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학술 논문을 인용합니다.[81] 비록 기사가 Sivananthan이 채택한 입장을 언급하지만, 그 입장에 반대한다고 주장한다는 사실에 비추어 Sivananthan이 이 기사를 인용하는 것은 이상해 보입니다.
관련 법원 조항의 전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중대한 요소가 의도와 지식으로 범해진 경우에만 재판소 관할 범죄에 대해 형사 책임을 지고 처벌을 받을 책임이 있습니다."[82]
법원 법령이나 범죄의 법원 요소에는 달리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또한, 표현 방식은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엄격한 요구 사항(의도 및 지식)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이라는 문구는 요구 사항의 개선 가능성이 아니라 요구 사항의 완화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특정 의도에 대한 주장은 법령에 명시된 것보다 의도에 대한 더 엄격한 요구 사항을 허용하기 위해 "달리 제공되지 않는 한"이라는 문구를 왜곡합니다.
"달리 제공되지 않는 한"이라는 문구는 주장대로 대량 학살 금지의 기원과 발전을 언급할 수 있습니다. 집단학살 금지의 기원과 전개과정을 살펴보면, 구체적인 의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가 실제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국제법 위원회(International Law Commission)는 1996년 인류의 평화와 안전에 대한 범죄 규약 초안에 대한 논평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금지된 [집단 학살] 행위는 특정 그룹의 구성원이라는 이유로 그리고 그룹을 파괴하려는 전반적인 목표의 점진적인 단계로서 개인에 대해 저질러져야 합니다. . .. 의도는 특정 그룹의 구성원이라는 이유로 일부 개인이 아니라 별도의 별개의 개체를 의미하는 '그 자체로' 그룹을 파괴하는 것이어야 합니다.”[83]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국 재판소는 양심수의 장기에 대한 대량 살해가 일어났고 지금도 일어나고 있다고 합리적인 의심의 여지 없이 결정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이 학대가 반인륜적 범죄이자 고문이라는 것을 주저하지 않고 깨달았습니다.
그러나 대량 학살에 관해서는 그렇게 확신하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유엔 총회가 권고적 의견을 구하는 결의안을 통해 집단살해법의 해석을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할 것을 권고했다.[84]
나는 대량학살을 위한 장기 적출을 통한 파룬궁이나 위구르인의 대량 학살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을 기소하는 것을 찬성하지만 대량학살의 법에서 발전된 의도의 법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국제사법재판소의 권고 의견이 그렇게 할 것입니다.
자문 의견을 요청하려면 총회에서 투표자의 과반수가 필요하지만 공을 굴리기 위해서는 한 주의 발의만이 필요합니다.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또는 이상적으로는 세 나라 모두가 함께 그러한 결의안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국제형사재판소는 재판소 조약 당사국 국민이 저지른 범죄 또는 당사국 영역 내에서 저지른 범죄에 대해 관할권을 갖는다. 중국은 국제형사재판소 조약의 당사국이 아닙니다.
안전보장이사회는 비당사국의 영역에서도 발생하는 법원의 상황을 언급할 수 있습니다. 중국은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거부권을 행사하고 있으며 회부 결의안을 거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추천은 찾아볼 가치가 있습니다. 노력 자체가 범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 노력이 중국인의 거부권 행사로 귀결된다면 앞서 논의한 보편적 관할권 행사를 포함하여 가해자를 재판에 회부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덴마크도 핀란드도 스웨덴도 현재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현재 회원들에게 그러한 추천 결의안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결론
실행 계획에는 수행할 수 있는 항목이 많기 때문이 아니라 항목이 너무 많습니다. 수행할 수 있는 조치의 수는 얼마나 적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David Kilgour와 내가 작업을 시작했을 때 유일한 이유는 아니지만 우리는 장기에 대한 파룬궁 살해가 일어나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중국에서든 해외에서든.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의 경우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적어도 오늘날에는 이러한 학대에 맞서기 위한 다른 나라들의 노력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이 이를 따르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
David Matas는 캐나다 매니토바 주 위니펙에 거주하는 국제 인권 변호사입니다.
- 세라핌 에디션 ↑
- http://commdocs.house.gov/committees/intlrel/hfa30146.000/hfa30146_0f.htm ↑
- http://organharvestinvestigation.net/events/YALE0407.pdf ↑
- https://endtransplantabuse.org/an‑update/ ↑
- 세라핌 에디션 ↑
- 프로 메테우스 책 ↑
- http://www.upholdjustice.org/ ↑
- https://endtransplantabuse.org/ ↑
- https://www.chinaorganharvest.org ↑
- https://dafoh.org/ ↑
- http://scholarcommons.usf.edu/gsp/vol12/iss1/6 ↑
- https://chinatribunal.com/ ↑
- 요약 판결, 188 및 189페이지 53 및 54
https://chinatribunal.com/wp‑content/uploads/2019/07/ChinaTribunal_‑SummaryJudgment_17June2019.pdf ↑
- 요약판결문단 193, 53, 54면 ↑
- 형법 제8조 ↑
-
https://treaties.un.org/pages/ViewDetails.aspx?src=TREATY&mtdsg_no=IV‑1&chapter=4&clang=_en ↑
- 기술 5 (2) ↑
- 형법 제8조 ↑
- 제5(1)(a) 및 (b)조 ↑
- Dorrit Saietz “중국 체제에 대항하는 정의를 위한 국제 투쟁의 파룬궁” 정보 30th 8월 2005 ↑
- "유럽의 보편적 관할권: 최첨단" Human Rights Watch 2006년 14월호, XNUMX항 ↑
- 제1장 제7조(1) ↑
- 1년 7월 "유럽 연합의 치외 관할권"에서 영어로 재생산된 형법 1장 2절, 3(9), (2010) 및 (126), Redress 및 FIDH(국제 연합 인권) XNUMX페이지
https://www.fidh.org/en/region/europe‑central‑asia/Extraterritorial‑Jurisdiction‑in ↑
- Clearharmony.net "핀란드: 공정한 인권 변호사", 2003-10-06
, http://se.clearharmony.net/articles/a8258‑Finland‑En‑rattfardig‑manniskorattsadvokat.html#.XYTNACgzZkg ↑
- 대량학살, 반인도범죄 및 전쟁범죄에 대한 형사책임에 관한 법률 ↑
- “'이것이 우리가 도피하고 있는 범죄입니다': 스웨덴과 독일 법원의 시리아에 대한 정의” Human Rights Watch, 3년 2017월 XNUMX일 ↑
- 캐나다 법률은 다음 링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https://laws‑lois.justice.gc.ca/eng/acts/J‑2.3/FullText.html
캐나다 법률에 따라 나열된 항목에 대한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https://www.international.gc.ca/world‑monde/international_relations‑relations_internationales/sanctions/victims_corrupt‑victimes_corrompus.aspx?lang=eng ↑
- 미국 법률은 다음 링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https://www.congress.gov/114/bills/s284/BILLS‑114s284rfh.pdf
미국 법률에 따라 나열된 항목에 대한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https://www.treasury.gov/resource‑center/sanctions/Programs/pages/magnitsky.aspx ↑
- 영국 법률에 대한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http://researchbriefings.files.parliament.uk/documents/CBP‑8374/CBP‑8374.pdf ↑
- 톰 블랙웰 “캐나다의 마그니츠키 법에 따라 인권을 남용하는 중국 관리들을 제재할 때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내셔널 포스트, 15년 2019월 XNUMX일
- ↑
- “장기 기증: 윤리적 심의 및 권고”
http://www.etiskraad.dk/~/media/Etisk‑Raad/en/Publications/Organ‑donation‑2008.pdf?la=da ↑
- 캐나다의 경우 주 면책법을 참조하십시오. ↑
- 외국 주권 면제 법 ↑
- 테러 피해자를위한 정의 ↑
- 예를 들어 참조 룽진 v 보시라이, 2016 ONSC 917 ↑
- 예를 들어 Bill C-632, 41st 캐나다 의회, 두 번째 세션 참조 ↑
- Gorrissen Federspiel "덴마크의 주권 면책"
https://www.lexology.com/library/detail.aspx?g=85a43e18‑1df1‑4ece‑b3ba‑1df9d1291f6a ↑
- 국가의 관할권 면제 (Ger. v. It., Greece Intervening), 판결, 2012 ICJ 143(3월 XNUMX일) ↑
- Winston P. Nagan 및 Joshua L. Root "주권 면책에 대한 새로운 제한: 국제법의 절대 규범, UN 헌장 및 현대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적용" 플로리다 대학 레빈 법과 대학, UF 법률 장학금 저장소, 2013년 겨울
https://scholarship.law.ufl.edu/cgi/viewcontent.cgi?article=1586&context=facultypub ↑
- 부자리 대 캐나다, 유엔 고문방지위원회, 6년 2005월 646일, 유엔 문서 번호 CAT/C/SR.1/Add.67, 단락 XNUMX(저는 Bouzari 씨의 고문이었습니다). ↑
- 유럽 평의회 데이터베이스 국가 및 국제 기구의 면제
http://www.cahdidatabases.coe.int/Contribution/Details/392 ↑
-
https://treaties.un.org/pages/ViewDetails.aspx?src=TREATY&mtdsg_no=III‑13&chapter=3&lang=en#EndDec ↑
- 2018년 1861월 28일 유럽 의회 및 이사회의 규정(EU) 2018/24, 국경 검사 분야에서 솅겐 정보 시스템(SIS)의 구축, 운영 및 사용에 관한 규정, 2(XNUMX)(b)조
http://www.europeanmigrationlaw.eu/documents/Regulation%202018‑1861.pdf ↑
- 양식 ds-160, 20페이지
https://travel.state.gov/content/dam/visas/PDF‑other/DS‑160_Example.pdf ↑
- 8 미국 코드 1182f ↑
- 이민 및 난민 보호법(Immigration and Refugee Protection Act) 섹션 1(35)에 섹션 (c.1) 추가. 보다
https://www.parl.ca/DocumentViewer/en/42‑1/bill/S‑240/third‑reading ↑
- https://www.laeger.dk/sites/default/files/laegeforeningens_etiske_principper.pdf ↑
- https://www.laakariliitto.fi/en/ethics/ ↑
- https://slf.se/rad‑och‑stod/etik/lakarforbundets‑etiska‑regler/ ↑
- https://www.sls.se/Etik/Etiska‑riktlinjer/ ↑
- https://www.sls.se/etik/etiska‑uttalanden/ ↑
- http://www.etiskraad.dk/~/media/Etisk‑Raad/en/Publications/Organ‑donation‑2008.pdf?la=da ↑
-
https://www.visitcopenhagen.com/press/copenhagen/body‑worlds‑you‑will‑never‑be‑same‑again ↑
- https://bodyworlds.com/city/copenhagen/ ↑
- https://bodyworlds.com/about/faq/ ↑
- https://www.epressi.com/tiedotteet/terveys/world‑famous‑body‑worlds‑exhibition‑to‑heureka.html
https://www.epressi.com/tiedotteet/lifestyle/body‑worlds‑exhibition‑opened‑at‑heureka.htm l ↑
- https://www.aftonbladet.se/nyheter/a/rLda9l/fladda‑lik‑visas‑upp‑for‑barn ↑
- http://www.maenniskokroppen.se/content/naer‑och‑var/ ↑
- https://ag.ny.gov/press‑release/cuomo‑settlement‑bodies‑exhibition‑ends‑practice‑using‑human‑remains‑suspect‑origins ↑
- https://www.capitol.hawaii.gov/session2009/bills/GM735_.PDF ↑
- http://clerk.seattle.gov/search/results?s1=bodies&s9=&s7=&s6=(%40DTIR%3E20100700%3C20100800)+OR+(%40DTA%3E20100700%3C20100800)+OR+(%40DTS%3E20100700%3C20100800)+OR+(%40DTSI%3E20100700%3C20100800)+OR+(%40DTMY%3E20100700%3C20100800)+OR+(%40DTF%3E20100700%3C20100800)&s2=&s8=&Sect4=AND&l=200&Sect2=THESON&Sect3=PLURON&Sect5=LEGI2&Sect6=HITOFF&d=LEGC&p=1&u=%2Fsearch%2Fcombined%2F&r=9&f=G ↑
- https://www.legifrance.gouv.fr/affichJuriJudi.do?oldAction=rechJuriJudi&idTexte=JURITEXT000022826393 ↑
- 섹션 4(1)(b), http://www.psp.cz/sqw/text/tiskt.sqw?O=7&CT=954&CT1=0 ↑
- http://roundfin.com/product/Biological_Specimen/47.html ↑
- https://endtransplantabuse.org/an‑update‑chapter‑eleven‑a‑crime/#plastinated‑bodies ↑
- Human Rights Watch "중국 외교, 서구 위선, 유엔 인권 위원회" 1년 1997월 XNUMX일
https://www.refworld.org/cgi‑bin/texis/vtx/rwmain?page=printdoc&docid=3ae6a7d94
- Henry Chu 및 Craig Turner, "중국이 권리 조치를 차단하고 덴마크에 노력을 가한 것에 대해 처벌", 16년 1997월 XNUMX일
https://www.latimes.com/archives/la‑xpm‑1997‑04‑16‑mn‑49192‑story.html ↑
- Paul Lewis, "중국은 덴마크에 해결책에 대해 경고" 8년 1997월 XNUMX일
https://www.nytimes.com/1997/04/08/world/china‑warns‑denmark‑on‑resolution.html ↑
- Greg Moore, "UN Human Rights Regime에 대한 중국의 신중한 참여" Human Rights & Human Welfare, Volume 1:1, 2001년 1999월 Ann Kent 인용 "A review of China, United Nations, and Human Rights: Limits of Compliance", XNUMX년
- Henry Chu 및 Craig Turner, "중국이 권리 조치를 차단하고 덴마크에 노력을 가한 것에 대해 처벌", 16년 1997월 XNUMX일
https://www.latimes.com/archives/la‑xpm‑1997‑04‑16‑mn‑49192‑story.html ↑
- "EU: 중국 인권 대화 중단" 19년 2017월 XNUMX일
https://www.hrw.org/news/2017/06/19/eu‑suspend‑china‑human‑rights‑dialogue ↑
- “캐나다-중국 양자간 인권 평가
대화”, 19년 2006월 XNUMX일
http://spartan.ac.brocku.ca/~cburton/Assessment%20of%20the%20Canada‑China%20Bilateral%20Human%20Rights%20Dialogue%2019APR06.pdf ↑
- 중국의 장기 적출에 관한 유럽의회 결의(2013/2981(RSP)) ↑
- https://www.auswaertiges-amt.de/en/newsroom/news/mrhhb-anniversary-persecution-falun-gong/2234590 ↑
- 제4,5조, 제7조, 제8조 및 제XNUMX조 ↑
- 유엔 문서 A/HRC/41/G/11
https://ap.ohchr.org/Documents/sdpage_e.aspx?b=10&se=204&t=2 ↑
- http://www.europarl.europa.eu/doceo/document/PV‑8‑2016‑09‑12‑ANN‑2_EN.html ↑
- https://extranet.ohchr.org/sites/hrc/HRCSessions/RegularSessions/41Session/Pages/Statements.aspx?SessionId=30&MeetingDate=03/07/2019%2000:00:00 ↑
- https://scholarcommons.usf.edu/gsp/vol12/iss1/6/ ↑
- https://core.ac.uk/download/pdf/46713705.pdf ↑
- 기술 30 (1) ↑
- 국제법 위원회의 제5차 회의 작업 보고서, UN GAOR, 10lst Sess., Supp. 87, at 51, UN Doc. A/10/1996 (11) 88장, 인류의 평화와 안전에 대한 범죄 규약 초안 및 XNUMX의 논평. ↑
- https://chinatribunal.com/wp‑content/uploads/2019/06/China‑Tribunal‑SUMMARY‑JUDGMENT_FINAL.pdf , 단락 193 ↑